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414)
[보안]멀웨어(Malware) 멀웨어(Malware) 바이러스, 웜, 트로이 목마, 스파이웨어 등 사용자의 동의 없이 컴퓨터 시스템에 손상을 가하기 위해 설계된 악성 소프트웨어.
[보안]망분리와 망연계 망분리 물리적 망분리 : 업무 영역과 별개로 단말을 추가하여, 인터넷 접속이 가능하도록 하는 물리적 분리 방식. 논리적 망분리 : 하나의 단말에서 가상화 기술을 이용해, 업무영역과 분리하여 인터넷 접속이 가능하도록 하는 논리적 분리 방식. 망연계 회사 및 기관에서 업무 수행 시 업무망(인트리넷)과 인터넷망 간 업무 자료 등을 편리하게 교환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방식.
[보안]마이데이터(MyData) 마이데이터(MyData) 데이터의 주체인 개인이 접근하고 통제할 수 있는 자원적 측면을 가진 개인데이터 자체. 개인이 스스로 통제할 수 없는 데이터는 마이데이터가 아니다. 마이데이터 사업은 개인이 직접 금융기관과 통신사, 병원 등에 있는 자신의 개인정보를 제3의 업체에 전달해 새로운 서비스를 받도록 하는 정부의 시범 사업이다.
[보안]루트킷(Rootkit) 루트킷(Rootkit) 시스템의 보안 허점을 이용해 루트(root) 권한을 쉽게 얻게 해주는 도구(Kit) 프로그램.
[보안]랜섬웨어(Ransomware)와 랜섬웹(Ransomeweb) 랜섬웨어(Ransomware) Ransom(몸값)과 Ware(제품)의 합성어로 컴퓨터 시스템을 감염시켜 접근을 제한하고 일종의 몸값을 요구하는 악성 소프트웨어. 암호 해독용 프로그램의 전달을 조건으로 사용자에게 돈을 요구하기도 한다. 랜섬웹(Ransomeweb) 웹 서버에 저장된 DB를 암호화하고, 백업 데이터 역시 암호화된 DB들로 가득 채운 후 해당 정보를 인질로 삼아 돈을 요구하는 공격 기법.
[보안]데이터베이스 암호화(Database Encryption) 데이터베이스 암호화(Database Encryption) 데이터베이스 서버 내의 데이터 자체를 암호화하는 방법. DB 암호화 종류 -TDE(Transparent Database Encryption) : 암호화 키를 DB 서버에 파일 형태로 두고 데이터를 암호화하는 방법. -HSM(Hardware Security Module) : 물리적인 장비인 HSM에 암호화 키를 두고 데이터를 암호화하는 방법. -API : 애플리케이션 레벨에서 암호화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암호화하는 방법.
[보안]데이터 3법 데이터 3법 데이터 이용을 활성화하는 [개인정보 보호법],[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 보호 등에 관한 법률(약칭 : 개인통신망법),[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약칭 : 신용정보법)] 등 3가지 법률을 통칭.
[보안]공인인증서(X.509) 공인인증서(X.509) 전자상거래를 할 때 신원을 확인하고, 문서의 위조와 변조, 거래 사실의 부인 방지 등을 목적으로 공인인증기관(CA)이 발행하는 전자적 정보로서, 일종의 사이버 거래용 인감증명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