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414) 썸네일형 리스트형 [5주차]Chapter8 키워드 정리 #배열 같은 형태의 많은 데이터를 반복문으로 처리하기 위해서 메모리에 연속적으로 저장해놓고 쪼개서 사용하는 방법 요소의 자료형에 이름을 붙이고 필요한 요소의 개수를 표시한다. #변수 vs 배열 변수를 선언하면 각 변수는 독립적인 저장 공간을 갖고 각각의 이름을 사용한다. 반면 배열은 저장 공간이 연속으로 할당되며 배열명이 전체 공간의 이름이 된다. #배열요소 배열의 나누어진 조각. 배열요소는 배열명에 첨자를 붙여 표현하며 첨자는 0부터 시작한다. #배열 선언시 vs 배열 요소 사용시 배열을 선언할 때 []안의 숫자는 배열 요소의 전체 개수를 표시하며, 배열을 사용할 때는 각 요소가 배열에서 몇 번째에 있는지를 의미한다. #첨자 배열에서의 위치. 배열의 첨자는 0부터 시작하므로 최대 '배열 요소 개수 - .. [4주차]함수의 유형 함수는 기능을 수행하는 코드 단위로 main(), printf(), scanf()도 함수이다. 표준 라이브러리 함수 : 특정 기능을 미리 약속하고 프로그램에서 바로 사용할 수 있게 구현되어 있는 함수 ex)printf, scanf stdio.h 헤더 파일에 포함 되어있다. 함수의 원형은 반환형 함수명(매개변수) 하지만 언제나 함수에 반환형과 매개 변수가 있는것은 아니다. 1.매개변수가 없는 함수 int get_num(void) 괄호안에 void를 넣어 매개변수가 없음을 표시합니다. 괄호만 사용하는것도 가능하지만 void를 넣어 매개변수가 없음을 명시적으로 표현하는 것이 좋습니다. void는 함수정의나 선언에서 사용하며 호출할 때는 쓰지 않습니다. 그냥 괄호만 쓰면 됩니다. 2.반환값이 없는 함수 데이터를.. [3주차]혼공 용어노트 정리 *모르는 용어 위주로 노트 내용 정리 #숏 서킷 룰 좌항만으로 &&와 || 연산 결괄르 판별하는 기능으로 &&연산자는 좌항이 거짓이면 우항과 관계없이 결과는 거짓이므로 우항을 살펴볼 필요가 없다. ||연산자는 좌항이 참이면 우항과 관계없이 결과가 참이다. 따라서 &&연산때 좌항이 거짓이거나, ||연산때 좌항이 참이라면 우항은 아예 실행되지 않는다. #ALU CPU의 연산장치. 레지스터 - CPU의 저장장치 #로드 연산을 하기 위해 메모리에 있는 값을 CPU의 저장 공간인 레지스터에 복사하는 것으로 연산 명령 이전에 수행된다. 데이터가 레지스터에 저장되면 연산장치인 ALU에 의해 덧셈 연산이 수행되고 그 결괏값은 일단 레지스터에 저장된다. #스토어 대입연산을 수행하면 메모리 공간에 복사되어 수식의 모든 과.. [2주차]3.변수와 데이터 입력 && 4.연산자 03-1|변수 확인 문제 1.다음 자료형 중에서 실수형에 O표를 하세요. 2.다음 프로그램의 실행결과를 예상해보세요. a의 초기값 0 a=a+1; a값 1로 업데이트. a=a+2; 업데이트된 값인 1에서 2 더해서 a 업데이트. a의 최종값 3. a=a+3; 업데이트된 값인 3에서 3 더해서 a 업데이트.a의 최종값 6. 따라서 a의 값은 6이 나올것을 예상했습니다. 실제 코드 실행결과도 6으로 예상했던 값이 맞은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3.국어, 영어, 수학 점수를 저장할 변수(kor, eng, mat)를 선언하고 각각 70, 80, 90점으로 초기화합니다. 총점을 저장할 변수(tot)를 선언하여 세 과목의 합을 구하고 세 과목의 점수와 총점을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세요. #include int.. Queue, Circular Queue, Linked list #큐 first in, first out #원형 큐. circular queue 나머지 연산 큐. #LInked list 연결(Linked) List vs Array #Array 1 2 3 4 5 6 7 8 9 … 1000 장점 : random access 단점 : 임의위치 삽입. 삭제 #Linked LIst 장점 : 삽입 삭제 o 단점 : 순차접근(sequential access) Struct node* Struct node{ int data; Struct node next; };//자기참조 구조체 [실습]커피숍 DB 만들기 [프로젝트 구성원 : 조은수, 장지혜] erd->릴레이션 1.엔티티명->릴레이션명 2.식별자->기본키(pk) 3.1(강):N(강) 관계->소거 N쪽에서 1쪽의 PK를 FK로 가져온다. 4.1(강):N(약) 관계->소거 N쪽에서 1쪽의 PK를 PK로 가져온다. 5.N:N 관계->엔티티 양쪽의 PK를 PK로 가져온다. #식별 관계와 비식별 관계의 차이 식별:기본키에 포함/강-약에서 PK로 가져올때! Oracle DB 트랜잭션 ## 트랜잭션 -- 업무처리를 위한 최소 단위 -- 여러개의 dml 문의 묶음 -- DDL, DCL 단독 트랜잭션 ## 트랜잭션 특징 -- 원자성 : 5개의 dml문으로 구성된 트랜잭션인 경우 일부만 수행되면 안된다 ==> ALL OR NOTHING -- 일관성 : 트랜잭션의 수행이 끝나면 일관성이 유지된다. -- 고립성 : -- 지속성 : ## 트랜잭션 연산 -- COMMIT : DB에 영구 저장 -- ROLLBACK : 작업취소 (트랜잭션 수행 이전 상태 복구) ------------------------------------------------------------------------------- CREATE TABLE TT1 ( A NUMBER(3), B NUMBER(3) ); INSERT I.. oracle 설치하기 ## 개인 PC에 DB 설치하기 1.오라클 사이트에서 11g 다운로드 2.압축해제 3.setup.exe 실행 =>중간 system 암호 입력 =>manager 두번 입력 ------------------------------------------ ##접속 1.작업표시줄 : cmd => 명령 프롬프트 C:\Users\user>sqlplus SQL*Plus: Release 11.2.0.2.0 Production on 수 1월 5 17:04:32 2022 Copyright (c) 1982, 2014, Oracle. All rights reserved. Enter user-name: system Enter password: Connected to: Oracle Database 11g Express Edition.. 이전 1 ··· 45 46 47 48 49 50 51 5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