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414) 썸네일형 리스트형 [보안]공개키(비대칭키) 암호화(Public-key Cryptography)와 비밀키(대칭키) 암호화 Secret Key encryption 공개키(비대칭키) 암호화(Public-key Cryptography) 암호화하는 키와 복호화 키가 다른 암호화 방식. 공개 키와 비밀 키가 존재하며, 공개 키는 누구나 알 수 있지만 그에 대응하는 비밀 키는 키의 소유자만이 알 수 있다. 비밀키(대칭키) 암호화 Secret Key encryption 암복화 시 사용되는 동일한 키를 사용하는 알고리즘. 알고리즘 방식으로 DES, 3-DES, AES, SEED, ARIA, MASK 등이 있다. [보안]공개키 기반구조(PKI, Public Key Infrastructure) 공개키 기반구조(PKI, Public Key Infrastructure) 인증서 기반의 사용자 인증과 데이터 암호화를 통해 신뢰성을 보장하는 공개키 기반 인프라 스트럭처로 공개 키 암호 시스템을 안전하게 사용하고 관리하기 위한 정보 보호 표준 방식. 인터넷과 같이 안전이 보장되지 않은 공중망 사용자들이, 신뢰할 수 있는 기관에서 부여된 한 쌍의 공개키와 개인키를 사용함으로써, 안전하고 노출되지 않게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게 해준다. [보안]개인정보 영향평가 제도(PIA, Privacy Impact Assessment) 개인정보 영향평가 제도(PIA, Privacy Impact Assessment) 개인정보 침해가 우려되는 경우(시스템 신규개발 또는 중대 변경 시)에 그 위험 요인의 분석과 개선사항 도출을 위한 평가 제도. 개인 정보 침해 위험성을 사전에 발견해, 정보 시스템 구축 및 운영에서 시행착오를 예방하고 효과적인 대응책을 수립하기 위하여 도입하는 제도로서 개인정보보호법에 의하여 공공 기관은 의무화되어 있다. [보안]개인정보 비식별화(De-Identification) 개인정보 비식별화(De-Identification)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개인정보의 일부를 삭제하거나 대체함으로써 특정 개인을 식별하기 어렵도록 하는 일련의 활동. [보안]개방 주소법(Open Addressing) 개방 주소법(Open Addressing) 충돌이 일어나면 해시 테이블 내의 새로운 주소를 탐사(Probe)하여 충돌된 데이터를 입력하는 방식. [네트워크]Wi-Sun Wi-Sun 사물 인터넷(IoT) 서비스를 위한 저전력 장거리(LPWA:Low Power Wide Area) 통신기술. Wi-SUN은 짧은 시간 동안 데이터 전송이 빈번한 검침 분야에 유용하며, 낮은 지연 속도, 메시 네트워크 기반 확장성, 펌웨어 업그레이드 용이성 면에서 다른 저전력장거리 통신 기술에 비해 우월하다. [네트워크]WBAN(Wireless Body Area Network) WBAN(Wireless Body Area Network) 웨어러블(Wearable) 또는 몸에 심는(Implant) 형태의 센서나 기기를 무선으로 연결하는 개인 영역 네트워킹 기술. WBAN은 무선 센서나 기기로부터 수집한 정보를 휴대폰 또는 간이형 기지국(Base Station)을 통하여 병원이나 기타의 필요한 곳에 실시간으로 전송함으로써 유헬스 등의 서비스를 받는데 응용할 수 있다. [네트워크]USN(Ubiquitous Sensor Network) USN(Ubiquitous Sensor Network) 각종 센서로 수집한 정보를 무선으로 수집할 수 있도록 구성한 네트워크. 필요한 모든 것에 RFID 태그를 부착하고 이를 통하여 사물의 인식 정보는 물론 주변의 환경정보까지 탐지하여 이를 네트워크에 연결하여 정보를 관리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전 1 ··· 12 13 14 15 16 17 18 ··· 5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