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414) 썸네일형 리스트형 [네트워크]LoRa(Long Range) LoRa(Long Range) 사물 상호간 통신(IoT)을 위한 저전력의 장거리 통신(LPWA, Low Power Wide Area) 기술. LoRa은 전 세계적으로 IoT 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위한 기술이며 저전력, 장거리, 보안성이 높은 특징이 있다. 자율주행 자동차, 스마트 장비, 가전 제품, 웨어러블 장치 등 모든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네트워크]ISM(Industrial, Scientific, Medical) ISM(Industrial, Scientific, Medical) 누구나 무료로 사용할 수 있도록 규정한 주파수 대역인 비면허(Unlicensed) 대역. 면허 대역은 방송통신위원회의 승인을 받아 사용해야 한다. [네트워크]IPv6(Internet protocol version 6) IPv6(Internet protocol version 6) 기존 IPv4의 32bit 주소체계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128bit 체계의 차세대 인터넷 주소 체계. 주소 갯수 차이 : IPv5(2^32, 약 43억개), IPv6(2^128, 약 43억^4=거의 무한대) [네트워크]DNS(Domain Name Server) DNS(Domain Name Server) 인터넷 사용자가 호스트를 호출할때 사용하는 문자형의 주소인 도메인 이름을 IP로 변화하여 주는 시스템. [네트워크]CIDR(Classless Inter-Domain Routing) CIDR(Classless Inter-Domain Routing) IP 주소 할당 방법의 하나로서, 기존 8비트 단위로 네트워크 주소와 호스트 주소를 정하지 않고 IP 주소를 할당하는 방법. 인터넷 접속 시 IP 주소는 A/B/C/D/E 등 5가지 등급이 있는데, 등급 C의 주소 공간을 기본 단위로 할당한다. 상세한 사항은 RFC 1519에 규정되어 있으며 한정된 자원인 IP 주소를 쓸데없이 사용하는 것을 방지하거나 라우터의 처리 부하를 경감시킬 목적으로 개발되었다. [네트워크]CDN(Content Delivery Network) CDN(Content Delivery Network) 콘텐츠의 복제, 분산을 이용하여 특정 서버로의 Request를 분산시키고 전체 트래픽 양을 감소시켜 Qos(서비스 품질, Quality Of Service)를 유지 시켜주는 대용량 콘텐츠 전송 서비스 기술. [네트워크]Cart.M1(LTE Category M1) Cart.M1(LTE Category M1) 이동통신 국제표준화단체 3GPP에서 표준화(3GPP Release 13)한 LTE 이동통신망 기반의 저전력 광역 통신기술 표준. LTE Cat.M1 표준은 전송속도는 300kbps로, 사물이동통신(IoT) 표준기술인 로라(LoRa, 5.5kbps)보다 50배 이상, 협대역 사물인터넷(NB-IoT, 최고 27kbps)보다 10배 이상 빠르다. 저용량 동영상, 고화질 사진과 음성 전송, 인증 및 결제 서비스 등이 가능하다. LTE Cat.M1을 적용하면 전력 소비가 적어 이동성이 증가하고 배터리 수명도 수년까지 길어진다. [네트워크]BLE(Bluetooth Low Energy) 저전력 블루투스 기술 BLE(Bluetooth Low Energy) 저전력 블루투스 기술 일반 블루투스와 동일한 2.4GHz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지만 연결되지 않는 대기 상태에서는 절전 모드를 유지하는 기술. BLE 기술은 주로 낮은 전력으로 저 용량 데이터를 처리하는 시계, 비콘(Beacon),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의 소형 사물 인터넷에 매우 적합하다. BLE 기술은 전력 효율이 매우 좋아 배터리 하나로 몇 년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비용 면에서 매우 효율적이다. 이전 1 ··· 15 16 17 18 19 20 21 ··· 5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