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Lobo's study room/정보처리기사

(329)
[데이터베이스]병행제어(Concurrency Control) 병행제어(Concurrency Control) 여러 개의 트랜잭션을 병행 수행할 때 실행되는 트랜잭션들이 데이터베이스의 일관성을 파괴하지 않도록 트랜잭션 간의 상호 작용을 제어하는 기술.
[데이터베이스]반정규화와 정규화 반정규화(De-Normalization) 시스템의 성능향상과 개발 및 운영의 단순화를 위해 정규화된 데이터모델을 변경하는 방법. 정규화를 수행한 이후 반정규화(=역정규화, 비정규화)를 수행한다. 정규화(Normalization) 이상현상(Anomaly)를 야기하는 Attribute들 간의 종속 관계를 제거하기 위해 Relation을 작은 Relation으로 무손실 분해하는 과정. 정규화는 1NF, 2NF, 3NF, BCNF, 4NF, 5NF로 분류한다.
[데이터베이스]물리적 설계(Physical Design) 물리적 설계(Physical Design) 논리적 구조로 표현된 데이터를 디스크 등의 물리적 저장장치에 저장할 수 있는 물리적 구조의 데이터로 변환하는 과정. 실제 Database에 테이블을 생성하는 단계이다.
[데이터베이스]릴레이션과 카디널리티, 튜플 릴레이션(Relation) 주로 테이블(Table)과 같은 의미로 사용되며, 데이터의 집합을 의미. 튜플(Tuple)과 어트리뷰트(Attribute)로 구성되어있다. 엑셀의 시트 자체를 의미한다고 생각하면 된다. 카디널리티(Cardinality) 집합의 “원소 개수”에 대한 척도. 예를 들어, Cardinality가 낮은 속성들은 성별, 부서, 지역 등이 있다. 성별의 경우 모든 데이터 분포도에 “남”,”여” 값만 존재할 수 있기에 카디널리티가 낮다. 튜플(행) 테이블을 구성하는 데이터들 중 가로로 묶은 데이터 셋. Tuple = Row = Record
[데이터베이스]로킹(Locking) 로킹(Locking) 하나의 트랜잭션이 실행되는 동안 특정 데이터 항목에 대해서 다른 트랜잭션이 동시에 접근하지 못하도록 상호배제(Mutual Exclusive) 기능을 제공하는 기법. 데이터의 일관성을 보장하고 동시성을 제공하는 기법이다.
[데이터베이스]동거자(SYNONYM) 동거자(SYNONYM) 데이터베이스의 객체(테이블, 뷰, 시퀀스 또는 기타 스키마 객체)의 고유한 이름 대신하는 별칭 또는 대체 이름. 시노님을 생성해서 사용을 하면 추후에 참조하고 있는 객체가 이름을 바꾸거나 이동할 경우 SQL문을 고치는 것이 아니라 시노님만 다시 정의하면 된다.
[데이터베이스]데이터베이스 회복과 즉시 갱신 기법, 지연 갱신 기법 데이터베이스 회복(Database Recovery) 데이터베이스의 장애에 대해 정상적인 처리가 가능하도록 수행할 수 있는 기법. 회복 기법 : 즉시(UNDO) 갱신기법, 지연(REDO) 갱신기법, Checkpoint, ARIES, Shadow Page 즉시 갱신 기법(Immediate Update) 데이터의 회복을 위해 트랜잭션 수행 도중에도 변경 내용을 즉시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는 기법. 커밋 발생 이전의 갱신은 원자성이 보장되지 않는 미완료 갱신이므로 장애 발생 시 UNDO 필요하다. 지연 갱신 기법(Deferred Update) 데이터의 회복을 위해 트랜잭션의 부분 완료 상태까지 발생한 모든 변경 내용을 로그 파일에만 저장하고 데이터베이스에는 커밋이 발생할 때까지 저장을 지연하는 기법. 중간에 장애..
[데이터베이스]데이터베이스 장애(Database Failure) 데이터베이스 장애(Database Failure) HW 또는 SW의 문제로 인해 정상적인 데이터 처리가 불가능한 상태. 장애의 유형 : 트랜잭션 장애, 시스템 장애, 미디어 장애